원가관리회계는 다른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암기를 할게 적은 과목이다. 다르게 말하면 아이디어를 생각하지 못하면 문제는 손도 못댈 수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관련 개념을 무작정 외우기 보다는 정확하게 이해하는 게 좋다.
모의고사 1회, 2회
1. 표준원가에서 원가흐름의 가정은 필요하지 않음
2. CVP가정은 변동원가 고정원가 구분 가능, 그래프는 선형,
3. 단일배부는 원가행태를 고려하지 않아 변동, 고정원가를 나누지 않고 총액을 실제이용량으로 나누며 이중배부는 변동원가는 실제이용량을 고정원가는 최대이용량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4. 표준원가계산의 한계에는 표준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주어야 한다. 표준 설정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합리적으로 표준원가를 설정하기 어렵다. 예외에의한 관리에 주관이 개입 될 수 있다. 비계량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는다. 직원이 유리한 차이만 강조시 역효과가 날 수 있다.
5. 종합원가의 장점은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된다. 공정별로 성과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책임대상이 명확하다. 단점은 원가정보가 불확실하다. 상세한 원가 정보를 알 수 없다. 원가계산기간의 종료시점까지 제품원가를 알 수 없다. 기말재공품 완성도에 주관이 개입된다.
6. 상호배분법 식 s1=a+0.1b/(1-0.1x0.2) 0.1은 b가 a에게 배부하는 비율 0.2는 a가 b에게 배부하는 비율
7. 영업이익이 아니라 당기인식원가를 묻는 문제이다. 역시 문제를 잘 읽자
8. 자본예산 설정 시 관련수익과 관련비용만 고려한다. 감가상각비는 현금유출이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지만 감가상각비로 인한 절세효과는 고려한다. 세후금액으로 고려한다. 자금조달에 필요한 금융비용의 이자비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9. 책임회계제도는 표준원가 등 모든 원가관리 기법으로 평가가능하다. 조직의 영업성과 향상이 목적이다. 경영자는 영업이익으로 책임을 평가하지 않고 공헌이익-통제가능한 고정원가 금액으로 평가한다.
모의고사 3회, 4회
1. 제품단위를 물어보면 단위당 원가를 구해야되는데 단순히 원가동인으로 나눠서 풀었음. 원가동인을 제품단위로 바꾸자!
2. 직접노동원가 능률차이는 원재료 품질차이도 원인이 된다. 직접노동원가 비능률은 직접재료원가와 변동제조간접원가에 반영된다.
3. 재고자산은 원재료 재공품 제품이 있다. 단순히 재고자산이라 물어봤으니 전부 포함해야 되는데 기말제품만 고려함..
4. NPV, IRR은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만 ROI, RI는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5. 대체가격범위에서 공급자 입장에서 최소대체가격에는 증분지출원가+기회비용(유휴설비가 없는경우) 구매자 입장에서는 지출가능금액과 외부구입금액 중 적은금액을 범위로 한다.
6. 준고정원가는 어느 지점을 넘었을 경우 일정액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걸 말한다.
7. 상호, 단계배분법은 배분순서에 따라 제조간접원가 배분이 변동된다.
8. 전체는 부문을 변화시키지 못하지만 부문은 전체를 변화 시킴
9. 성과평가는 이익중심점을 먼저 평가한다.
10. 순실현가치법에서 -취득금액 +세후영업이익의 현재가치 + 잔존가치의 현재가치 + 감가상각비x세율(=세금절감액)의 현재가치를 고려한다.
11. 회계적이익률=연평균세후기대투자수익/최초(평균)투자액, 평균투자액=(기초투자액+잔존가치)/2
원가는 생각하는 재미가 있다. 그래도 기초적인 개념과 공식은 암기해야 하니 암기할게 전혀 없는건 아니다.
'원가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관리회계 개별원가계산, CVP 오답정리 (0) | 2022.02.12 |
---|
댓글